전체 글44 선행이 회칠한 무덤과 외식이 되지 않을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아무리 좋은 일을 해도, 그 선행이 오히려 혐오감을 준다면 무엇이 잘못된 걸까요? 화려한 겉모습 뒤에 숨겨진 진짜 의도는 과연 무엇을 말해주고 있을까요? 보여주기식이 아닌 흐름이 되어야 한다 선행이 외식(위선)으로 전락하는 첫 번째 이유는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을 향해 “회칠한 무덤 같다”라고 하셨습니다. 겉은 하얗게 칠했지만 안에는 시체가 있는 것처럼, 겉으로는 의로운 척하지만 마음은 사랑이 없기 때문입니다. 진짜 선행은 ‘보여주기’가 아닌, 흐르듯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것입니다. 누가 보든 안 보든, 내가 먼저 감동받아 흘러나와야 진짜입니다. 그 흐름 안에 쾌감과 즐거움이 있어야 억지나 인색함이 사라집니다. 쾌감과 사랑과 행복감이 항상 동반되어야 한다 이 .. 2025. 6. 1. 나는 없는 것이 더 낫다 진짜 치유는 통로가 될 때 흐른다 어쩌면 ‘나’라는 존재가 없어야 비로소 누군가를 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진짜 사랑과 치유는, ‘나’를 주장하지 않을 때 시작됩니다. 나는 없다는 선언이 치유의 문을 여는 열쇠 심령치유란 무엇일까요? 단순히 아픈 마음을 위로하는 것을 넘어서, 마음의 뿌리 깊은 구조를 바꾸는 일입니다. 저는 그 길의 첫걸음을 “나는 없다”는 선언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말은 단지 겸손이나 희생의 상징이 아닙니다. 자기 중심성, 기억장치, 고정된 사고 틀을 내려놓는 전환점입니다. 세상은 ‘자기’를 세우라고 가르치지만, 저는 오히려 ‘자기’를 지우는 것이 참된 해방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항동불변, 즉 상황과 자극에 흔들리지 않는 상태가 되기 위해선, 끊임없이 나를 주장하는 ‘자기’는 오히려 방해물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2025. 5. 30. 악성 스트레스의 원인이 교육방식에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악성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자율적인 학습 접근 방식인 '안드라고지'가 그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스트레스 제로의 비밀을 파헤쳐 볼까요?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의 차이 - 학습자 주체 페다고지는 교사가 중심이 되어 학습자를 가르치는 방식입니다. 주로 아동 교육에서 사용되며,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보다는 교사의 지시가 강조됩니다. 반면, 안드라고지는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주도권을 가집니다. 안드라고지는 성인의 자율성과 경험을 중시하며, 뇌파 측면에서는 주로 알파파(Alpha Wave)와 세타파(Theta Wave)가 활발하게 나타납니다. 이 뇌파들은 자발적인 탐구와 문제 해결을 통해 뇌가 편안하고 창의적인 상태에 이를 때 주로 활성화됩니다. 이는 성인 .. 2024. 11. 1. 당신의 뇌 속에는 무조건 터지는 시한폭탄이 장착되고 있다. 현대인의 뇌는 수많은 권위적 혜택에 의한 교육과 예절로 인해 끊임없는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당신의 뇌에 형성되는 이 시한폭탄은 반드시 터진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권위적 혜택과 사대주의적 이타주의의 뿌리 과거부터 내려온 권위적 혜택과 사대주의적 이타주의는 교육과 예절을 통해 사람들에게 아주 깊이 당연한 듯이 스며들어 왔습니다. 이러한 문화는 일제 강점기의 일본군과 같은 극단적 사례에서 명확히 드러납니다. 당시 일본군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라'는 명목으로 권위적인 명령을 수행하며, 개인의 자율성과 도덕적 판단을 완전히 무시했습니다. 그 결과, 수많은 한국인들이 억압과 고통을 당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강제 노동과 억울한 죽음을 겪었습니다. 일본군은 자신들의 명령을 수행하는 데 있어 어떠한 자비도 없었.. 2024. 10. 29. 뇌의 용도와 쓰임새에 따라 뇌의 파장도 달라진다 뇌의 용도에 따라 뇌파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성경 속 인물들의 경험을 통해 그 변화를 탐구해 보세요. 1. 뇌파의 변화와 집중의 원리 뇌파의 기초 뇌파는 우리의 의식 상태와 집중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전기적 신호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깊이 집중할 때 알파파, 편안할 때 세타파가 나오는 식입니다. 성경 속에서의 집중 성경은 하나님 앞에서 집중과 명상에 대한 사례가 많습니다. 다윗이 “주의 말씀을 묵상하나이다”라고 고백한 것처럼(시편 119:15), 말씀에 집중할 때 우리의 뇌는 새로운 주파수와 상태에 도달합니다. 이는 뇌의 전반적인 파장을 변화시키며, 깊은 명상과 묵상 중에 뇌가 다른 상태로 들어가는 원리를 보여줍니다. 2. 뇌파와 평안의 원리 평안할 때의 뇌파 과학적으로 평온함을.. 2024. 10. 25. 참맘으로 겸손해 질려면 거쳐야 할 4가지 과정 정녕 겸손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참된 겸손을 얻기 위해, 우리 내면에서 가장 먼저 버려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겸손한 마음의 상태는 과연 어떠할까요? 과연 나쁠까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셔야 알 수 있습니다. 1. 권위의식 버리기 - 진정한 겸손의 시작 권위의식 권위의식은 스스로를 다른 사람보다 높게 평가하거나, 상대방을 자신의 기준에서 바라보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겸손의 본질과 거리가 있습니다. 예수님의 가르침 성경에서 예수님은 자신을 “온유하고 겸손한 자”라 하셨습니다(마태복음 11:29). 그는 제자들에게도 섬김의 리더십을 강조하며, 겸손의 핵심은 남을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데 있다고 가르치셨습니다. 사도 바울의 권면: “서로에게 순종하며 존중하라”는 바울의 가르침(에베소서 5:21)도 권위.. 2024. 10. 25. 거듭난 사람들이 사용하는 아주 특별한 화법의 비밀 거듭난 사람들만 사용하는 특별한 화법, 그 속에는 범죄를 막는 놀라운 비밀이 숨어있습니다. 그러면, 이들이 기존의 방법을 버리고 선택한 새로운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요? 전통적 화법 우리가 예전부터 줄곧 사용해 왔던 전통적 화법은 "권선징악( 勸善懲惡 )적 화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권선징악 화법은 선을 장려하고 악을 처벌하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악행을 즉시 지적하고 수정하는 대화입니다. 이러한 화법은 도덕 기준을 중시하며 부정에 대한 처벌과 경고에 중점을 둡니다. 그러나 이러한 대화는 "그러는 너는 얼마나 잘하고 있어서 그렇게 말을 해?" 혹은 "너나 잘하세요!!!" 이런 식으로 상대방에게 방어적인 반응을 일으켜 대립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용선멸악( 用善滅惡 )적 화법 이는 빛의 기운.. 2024. 10. 24. 현대인들의 사대주의적 선행과 진정한 겸손의 탐구 우리는 현대인들의 선행과 겸손을 흔히 보지만, 그 이면에는 진정성이 아닌 위선이 숨어 있을 때가 많습니다. 과연 현대 사회의 선행과 겸손은 진심일까요, 아니면 사대주의적 발상에서 비롯된 착각일까요? 현대 사회의 선행은 정말 진심일까요?현대인들의 기부나 사회적 캠페인, 기업들의 CSR 활동 등을 보면 표면적으로는 사회를 위한 선행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이러한 행위는 자신의 이미지를 개선하거나 이익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변질된 경우가 많습니다. 진정한 선행은 보상을 기대하지 않지만, 현대의 선행은 대중의 호의와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적 도구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대주의적 발상의 위험성 사대주의란 외부의 강한 권력과 권위에 복종하고 보기 좋게 자신을 비하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2024. 10. 22. 이전 1 2 3 4 5 6 다음